티에스아이는 2011년 7월에 설립된 회사로 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차전지 제조 장비 중 2차전지의 활물질, 도전제, 결합제, 용매를 혼합하는 Mixing 공정을 운용하는 장비와 그 시스템을 판매하고 있다. 티에스아이의 주요 품목은 믹싱시스템, 믹싱제작품, 공사, 기타로 구분되며, 2022년 3분기 말 연결기준 믹싱시스템과 믹싱제작품의 매출은 939억8,500만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86.2%를 차지했다.
주요 제품(단위 : 억원)
제품명 | 2022년 | 2021년 | 2020년 | 제품설명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믹싱시스템 | 899.6억원 | 83% | 520.8억원 | 77% | 298.3억원 | 65% | 고객사 주문에 따른 2차전지 Mixing Line 설계하고, 필요 Mixing 장비 공급 및 설치하여 Mixing System 구성 |
믹싱제작품 | 40억원 | 4% | 99.5억원 | 15% | 88.4억원 | 19% | 주문 Mixing 장비 제조 공급 |
공사 | 146억원 | 13% | 44.4억원 | 7% | 43.7억원 | 10% | 배관/전기 등 설비라인 공사 |
기타 | 3.9억원 | 0% | 8.5억원 | 1% | 27억원 | 6% | 장비 수리 및 소모부품 |
계 | 1,090억원 | 100% | 673억원 | 100% | 457억원 | 100% | - |
(1) 믹싱 시스템 (Mixing System)
믹싱 시스템 이란 믹싱 공정을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로 믹싱 공정은 분체(활물질 등)를 정량 계량 공급하여 믹싱 작업을 수행한 후 만들어진 Slurry를 코팅공정까지 공급하는 공정이다. 믹싱 시스템은 매출처가 어떠한 시스템 구조를 요구하는가에 따라 상이하나 일반적으로는 크게 4가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1) 분체(활물질 등)를 Mixer에 공급하는 공정, (2) 믹싱 효율성을 위해 바인더나 도전재 등을 주요 Mixer에 투입하기전에 사전에 Mixing 하는 선분산 공정, (3) 주요 Mixer를 이용하여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을 최종 Mixing 하여 슬러리(Slurry)를 생산하는 공정, (4) 생산된 슬러리를 저장하고 다음 공정인 코팅 공정으로 이송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믹싱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정량의 재료 투입과 균일한 배합을 위한 Mixing, 그리고 세밀한 이물관리가 필요하며, 회사는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믹싱 공정 내에 전체 또는 일부분을 책임지고 엔지니어링, Mixing 룸 정리, 부품의 조달 및 장비의 제작, Mixing 룸 레이아웃 설계 및 그에 기반한 구조물 건설, 배관·배선, 장비 설치, 고객MES연동, 마무리 등을 포함한 통합 Mixing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다.
믹싱시스템의 공정 중 양극활 물질을 제조하는 공정을 예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티에스아이의 믹싱시스템을 자세히 보면 믹서(Mixer)와 저장 탱크 외에도 다양한 배관 및 설치시설 등이 필요하다. 티에스아이가 믹싱시스템을 턴키로 수주하는 경우 믹싱 공정에 필요한 장비뿐 아니라 관련된 배관과 설치물까지도 제조해서 납품하고 있다.
(2) 믹싱 제작품 (Mixing 관련 제작품 등)
티에스아이는 앞에서 언급한 믹싱 시스템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장비를 직접 제작하고 있으며, 믹싱 시스템과는 별도로 Mixing 관련 장비만을 판매하기도 한다.
(3) 공사
공사 매출 중 믹싱공사는 믹싱시스템 전반을 다루는 영역이 아닌 믹싱 시스템 중에서 일부 구성품을 공정에 추가하면서 발생하는 변경 업무가 주를 이룬다. 따라서 주요 매출이 믹싱시스템 매출과 믹싱관련 제작품이 납품된 이후 부수적으로 발생한다. 지속적인 사후 관리 서비스 매출의 성격으로 볼 수 있다.
긍정적인 실적전망
2022년 3분기 말 수주잔고는 1,967억원으로 2021년 수주잔고인 1,369억원을 넘어섰다. 2022년 얼티엄셀즈의 GM 2공장(테네시) 관련 수주액이 1,000억원 규모로 보이고, 2025년에 가동될 예정인 GM 3공장(미시간)의 장비 발주도 2023년부터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LGES의 오창, 폴란드, 난징 공장, 그리고 삼성SDI 헝가리 공장에도 장비를 납품한 이력이 있어 주요 고객사들의 북미 투자와 맞물려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
2022년 3분기 기준 수주잔고에서 글로벌 배터리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3%이다. 높은 기술력과 20년 이상 국내 고객사에 납품해온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사들에 대한 수주를 확보하였다. Morrow(덴마크), ACC(프랑스), Verkor(프랑스) 등에 파일럿 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양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글로벌 고객사(Morrow, ACC, Verkor)의 2030년 합산 캐파는 213GWh 이상이다. 특히 2023년 하반기 13.4GWh 가동 목표인 ACC 관련 수주 가운데 일부인 174억원을 올해 초에, 나머지 수주액인 250억원을 지난 11월 16일에 공시하였다.
전체적으로 티에스아이의 신규 수주잔고는 2021년 1,369억원(yoy +222%)에서 2022년 2,000억원(yoy + 46%)으로 예
상된다. 현재 티에스아이의 캐파는 올해 연말 가동되는 평택 공장까지 약 2,200억원 규모이며, 2024년 가동 목표인 천안 공장(2,000억원)까지 완성되면 총 4,200억원 수준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2022년 연결기준 매출은 약 1,550억원 수준으로 전년대비 1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영업이익은 47억원으로 흑자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에 처음으로 턴키 형태로 수주했던 폴란드향 수주의 매출이 인식되고, 글로벌 고객사향 제품을 양산해 공급한 것, 그리고 턴키 수주를 통해 수익성이 개선된 것이 이익 개선에 기여했다. 2023년에는 매출액이 2,268억원으로 전년대비 46.5% 증가하고 영업이익도 218억원으로 전년대비 360% 증가할 전망이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극재 가격 하락과 관련 업체들의 실적 전망 (0) | 2022.12.21 |
---|---|
하나기술 (0) | 2022.12.13 |
이차전지 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 2022.12.08 |
엠플러스 개요와 전망 (0) | 2022.12.07 |
포스코케미칼 개요 (0) | 202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