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빙(Bing)과 결합한 챗GPT의 급성장, 구글을 위협할까

by 베피1 2023. 3. 25.
반응형

 

지난 글에서 GPT 플러그인을 통해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모습을 소개했습니다. 기존 GPT 실시간 자료에 접근할 없기 때문에 음식점 예약이나 장보기 등에 관한 답을 해줄 없었는데요. 이번에 발표된 GPT 플러그인을 통해 이런 한계를 해결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봐주세요.

 

챗GPT 플러그인, 또 한번의 놀라운 업그레이드

챗GPT가 또 한번의 놀라운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2023년 3월 23일 OpenAI사는 ChatGPT plugins를 공개했는데요. 먼저 챗GPT 플러그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설명이 필요하겠죠. 쉽게 말하면 구글 앱스토어

best-people.co.kr

이뿐만이 아닙니다. 앞에서 언급한 이유 때문에 GPT 최근에 일어난 일에 관한 질문에는 제대로 대답을 없었습니다. 검색시장에서 이러한 점은 심각한 약점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GPT 웹브라우저와의 연결을 통해 이러한 한계 역시 극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오픈AI 이와 관련된 데모 영상을 공개했는데요. 과정이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같이 한번 보시죠.

 

우선 질문자는 GPT에게 올해 오스카상을 수상한 영화들과 최근에 개봉한 영화들의 박스오피스 수입을 비교해 달라고 요청합니다.

만약 기존의 챗GPT라면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최신 정보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제가 챗GPT에 같은 질문을 해봤는데요. 다음과 같은 답변이 나왔습니다.

우선 챗GPT는 첫 문단에서 "AI 언어모델로서 나는 박스오피스 수입에 관한 실시간 정보에 접근할 수 없다"는 문장이 있습니다. 뒤에 이전의 오스카상 수상작과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영화산업의 어려움 등을 언급했지만, 핵심은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웹브라우징에 연결된 챗GPT는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기존 챗GPT와 달리 웹브라우징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갖고 있는 데이터를 벗어난 질문이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를 모색하고 있는 것입니다.

잠시 후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여줍니다. 챗GPT가 "2023 Oscar winners box office sales compared to recently movies"로 검색을 해보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Oscars 2023: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Domi..."를 클릭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제가 직접 빙(Bing.com)에 "2023 Oscar winners box office sales compared to recently movies"로 검색을 해봤더니 다음과 같은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첫 번째 결과를 읽고 있다고 하네요.

이어서 챗GPT는 "recently released movies box office sales"로 검색을 했고 "Domistic Box Office For Mar 16, 2023 ..."르 클릭해 읽고 있다는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저 역시 빙에 같은 내용으로 검색을 해보고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되었는데요. 여기서 흥미로운 점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제일 위에 있는 콘텐츠를 클릭하는 것이 아니라 적합도가 높은 콘텐츠를 클릭했다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위 그림에는 클릭한 문서의 날짜가 Mar 16, 2023으로 되어 있는데, 아래 그림에서는 Mar 22, 2023으로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즉 "recently released movies(최근에 출시된 영화)"라는 검색어를 넣었을 때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자료를 보여주며, 결과값이 계속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챗GPT가 실시간 데이터를 업데이트한 검색 결과를 보여줄 수 없었던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장면입니다. 상당히 인상적이죠. 

그리고 이 같은 검색과정을 바탕으로 챗GPT는 다음과 같은 답변을 해줍니다. "2023년 오스카상을 수상한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는 박스 오피스에서 1억 달러를 벌었다. 최근에 개봉된 "스크림6"와 같은 영화는 개봉 후 7일 동안 5,852만 9,284달러를 벌어들였다. "스크림6"가 박스오피스에서 강한 출발을 했지만,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가 1억 달러의 박스 오피스 매출에 도달하기 위해 극장에서 더 오랫동안 상영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올해 오스카상 수상작과 최근 박스오피스 개봉작의 매출액을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영 기간까지 고려해 비교한 것이 무척 인상적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보는 것이 무척 놀랍고 흥미로웠습니다. 챗GPT가 검색시장에서도 상당히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2021년 글로벌 검색엔진 시장은 1,670억 달러 수준에서 빠르게 성장해 2028년에는 3,488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 https://www.businessresearchinsights.com/market-reports/search-engine-market-101546

그리고 현재 검색엔진 시장에서 압도적인 강자는 구글입니다. 2023년 2월 기준 91%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은 미미한 수준입니다.

출처 : https://www.similarweb.com/engines/

하지만 챗GPT를 장착한 빙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구글도 안심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실제로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빙의 일간 활성 사용자 수가 1억명을 돌파했다는 뉴스들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구글 입장에서 더욱 긴장되는 이유는 최근 챗GPT 돌풍이 하루아침에 일어난 일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OpenAI가 2015년 12월에 설립되었고, 2년 6개월 후인 2018년 6월에 GPT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그로부터 8개월 후인 2019년 2월에 GPT-2가 나왔고, 2020년 6월에 GPT-3가 나옵니다. 2022년 3월에는 InstructGPT가 나왔고, 2022년 11월에 비로소 ChatGPT가 나왔습니다. 이로부터 3개월 후인 2023년 3월에 GPT-4가 나왔고, 열흘 후에 ChatGPT Plugin이 발표되었습니다. OpenAI가 설립되고 ChatGPT가 나오기까지 7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것입니다. 심지어 얼마 전에 발표되어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던 GPT-4의 경우 이미 7개월 전에 개발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OpenAI는 챗GPT를 기반으로 전 세계 인터넷 산업에 큰 충격과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기존 강자인 구글이 다소 당황한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과연 앞으로 챗GPT를 비롯한 인터넷 산업은 어디로 흘러갈까요?

반응형